연구배경: 노쇠 현상과 대사증후군은 노인의 기능저하 및 독립성 감소와 관련이 있다. 노인에서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노쇠 위 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 대사증후군 노인 중 절반 이상이 총 섭취 에너지의 70%를 탄수화물로 섭취하고 있다. 본 연구는 65세 이상 한국 노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여러 위험요인들 과 단백질/탄수화물 섭취비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. 방법: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–3차년도(2016–2018) 자 료를 사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의 노인 3,758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. 대사증후군여부 및 5개 구성요소 해당여부에 대한 단백질/탄수 화물 섭취비율 사분위수집단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. 결과: 65세 이상 노인 남성 및 여성 모두에서 단백질/탄수화물 섭취 비율과 대사증후군 각 요소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 으며, 남성 노인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만 단백질/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증가할수록 고중성지방혈증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 었다. 결론: 65세 이상 남성 노인은 탄수화물에 비해 단백질을 많이 섭취 할수록 고중성지방혈증의 비율이 증가하였다.